이번 감기는 이상한 놈이다
평소 내 감기 루틴은 목감기-기침감기-코감기인데
이번에는 목이 아플까? 말까? 아니 바로 코감기다! 그런데 이제 열을 동반한~
이런 느낌이다
병원에 갔고 열이 안 떨어지면 B형 독감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해서 쓰게 된 오늘 주제는
B형 독감에 대해서이다 그리고 쌍둥이처럼 보이는 A형 독감이랑 뭐가 다른지..?
A형 독감과 B형 독감의 차이
1) B형 독감이란?
2) A형 독감이란?
3) A형 독감과 B형 독감의 차이
1) B형 독감이란?
B형 독감은 인플루엔자 B형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A형 독감과는 약간 다른 특징을 가진다고 한다
(1) B형 독감 특징
- 유행 시기: 주로 **겨울철(12~3월)**에 유행하지만, A형 독감보다 유행이 길어질 수 있음
- 증상: A형 독감과 유사하지만, 상대적으로 고열이 덜하고 소화기 증상(복통, 설사 등)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음 일반적으로는 발열 (38~40℃), 근육통, 두통, 기침, 인후통, 콧물, 피로감, 그리고 어린이일 경우 소화기 증상도 있다고 한다
- 전파력: A형보다는 다소 약하지만, 사람 간 전파가 충분히 가능하며, 학교, 회사 등 밀집된 공간에서 쉽게 확산된다
- 변이 특성: A형 독감은 항원 변이가 심해 매년 변종 발생 → 매년 새로운 백신 필요하나 B형 독감은 상대적으로 변이가 적고 사람에게만 감염된다
(2) B형 독감 치료 및 예방
치료: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해열제, 수분 섭취, 휴식), 심한 경우 항바이러스제(타미플루, 조플루자) 처방
예방: 독감 예방접종: 4가 백신(A형 2종 + B형 2종 포함) 맞으면 B형 독감 예방 가능,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철저하게 지키고 유행 시기에는 사람이 많은 곳 피하기
2) A형 독감이란?
A형 독감은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B형 독감보다 전파력이 강하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 A형 독감 특징
- 유행 시기: 주로 겨울철(12~2월) 유행하지만, 가을(11월)부터 봄(3~4월)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변이가 심해 매년 새로운 변종이 발생
- 증상: 갑작스러운 고열(38~40℃ 이상)과 심한 근육통이 특징이며, 일반적으로는 고열 (빠르게 올라감), 심한 근육통 및 관절통, 두통 및 전신 피로감, 기침, 콧물, 인후통, 가끔 구토, 설사(소아에게 흔함)
- 전파력: 매우 강한 전염성으로, 기침·재채기 등을 통한 비말 감염으로 전염된다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가족, 직장 동료, 학교 친구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됨
- 변이 특성: 항원 변이가 매우 심함 → 매년 새로운 바이러스 변종 발생
- 전 세계적인 **대유행(팬데믹)**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
- 대표적인 변종: H1N1(신종플루), H3N2 등
3) B형 독감과 A형 독감 차이점
구분 | A형 독감 | B형 독감 |
유행 범위 | 전 세계적 대유행 가능 | 국소적 유행 (지역사회 중심) |
증상 | 고열, 심한 근육통, 전신 피로 | A형보다 열이 덜하고 소화기 증상 동반 가능 |
전파력 | 매우 강함 | 상대적으로 약함 |
변이 가능성 | 매우 높아 매년 변종 발생 | 상대적으로 적음 |
백신 | 매년 새로운 변이에 맞춰 제작 | 매년 백신 접종 필요하지만 변이율 낮음 |
위 글을 통해 확인해 보자면 B형보다는 A형이 확실히 증상이 더 심하고 전염성도 크고 더 위험한 바이러스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증상은 비슷하게 열이 나고 근육통 같은 몸살 감기의 느낌이 있지만 바이러스가 강한 만큼 A형이 더 세고 아픈 것 같다
일단 열의 유무를 통해 내가 그냥 일반 감기인지 A형이나 B형 바이러스를 지닌 독감 유형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물론 일반 감기여도 병원 가서 약 처방받고 주사를 맞아야 빨리 낫겠지만
독감은 많이 아프기도 하고 전염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변에 노약자들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3월 일교차가 더욱 커지면서 감기가 더 잘 걸리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 같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금니 충치 치료 레진 인레이 차이점 비교 (1) | 2025.04.14 |
---|---|
어금니 충치 치료 과정 방법 및 종류 이가 시림 증상 (1) | 2025.04.11 |
충치 치료 방법 치료 과정 레진 인레이 크라운 임플란트 비교 (2) | 2025.04.07 |
충치 단계 법랑질과 상아질 (1) | 2025.04.03 |
다낭성난소증후군과 인슐린 저항성 (2) | 2025.04.01 |